국회의장 1주년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우원식 의장. 사진- NjT
우원식, "국회의원 제명? '윤리 특위' 설치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개최
2025년 6월11일 우원식 국회의장은 11일 취임 1주년을 맞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년간의 국회 활동을 돌아보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그는 "비상계엄부터 조기 대선까지 이어진 국가적 위기 속에서도 국회가 헌법 수호와 국정 안정에 기여했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민주주의 발전과 민생 안정에 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가장 기억에 남는 성과로 '12.3 비상계엄 사태 대응'을 꼽았다. 그는 "국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이 위기 극복의 원동력이었다"며, 국회가 비상계엄 해제를 신속히 처리하고 국회 침탈,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소추 등 주요 사안에 헌법과 법률에 따라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회의 대외신인도 회복과 국정 안정을 위한 '국회의장 외교' 노력도 강조했다. 비상계엄 해제 직후부터 주요국 대사 및 의회 지도자들과 소통하고 직접 72개국 101명을 만나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 상황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 외교 공백을 최소화하고 국제사회의 불필요한 우려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고 말했다.
국내 현안 대응에도 국회-정부 국정협의체와 국회 소속기관 합동 TF를 운영하며 경제·민생·외교통상 현안을 전방위로 점검했다고 소개했다.
우 의장은 국회의 문화 변화에도 노력을 기울였다고 밝혔다. "여야 간 첨예한 갈등 속에서도 사회적 대화 정례화, 기후위기 대응 전면화, 국민연금 모수개혁과 AI 기본법 제정 등 의미 있는 성과를 냈다"고 전했다. 특히 국회 세종의사당을 RE100 기준으로 건립하고 국회 탄소중립 로드맵도 마련 중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과제로는 "민생 안정과 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입법과 예산심의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국회 기능 유지 체계 개선과 국회 개혁 자문위원회 구성, 개헌 논의 활성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국회의 민주주의 수호 상징물 조성과 독립기념광장 조성 등으로 '국회의 민주주의 최후 보루' 역할을 강조할 계획이다.
우 의장은 "남은 임기 동안 국민 속에 있는 국회로 진화해 민주주의와 민생을 지킨 국회의장으로 평가받고 싶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시간에 '개헌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의 개헌에의 의지가 명확하다. 단지, 정부가 시작하는 단계이고 인수위 없이 시작하는 것이기에 굉장히 어려운 상황에 있다. 국정 안정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개헌논의는 각 정당과 시민사회와 (안정된 후) 정부와 논의를 거쳐서 시기를 조절해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
'의원 제명건'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제가 가장 답답했던 부분이다. 국민 앞에서 볼 때 국회의원 잘못하면 징계도 하고 잘못에 대한 판단도 하고 해야 하는데 죄송하게도 '윤리 특위'를 만들지 못했다. 이는 여야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했던 부분이었다. 아직 타협이 안 됐다. 의석수대로 하자는 의견과 여야 반반이라는 의견이 강해 타협이 안 됐다. 이준석 의원 제명에 대한 50만명 서명이 있었고 그 전에 12명의 의원 제명건이 들어와 있다. 국민들께 죄송하다. 양당 원내대표가 선출되면 '윤리 특위' 설치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라고 답했다.
'국회의장의 중립성'에 대한 질문에는 "국회의장이 할 일은 민주주의를 지키고 국민의 삶에 도움이 되고, 국민의 뜻을 받드는 것이다. 비상계엄 이후에 비상계엄을 해제한 후 탄핵과정을 거치면서 중립성을 훼손한 것 아니냐는 질문이 있었다. 저는 중립성을 해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국민이 보상받는 삶을 살아야 하는데, 국민의 삶이 얼마만큼 변했는가로 지도자는 평가를 받는다. 제 역할은 이전이나 지금이나 분명하다"라고 답했다.
우원식 의장(중앙)이 위촉장을 수여한 후 위촉위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 NjTelegraph. Speaker Woo Won-shik (center) poses for a commemorative photo with the appointed committee members after presenting the letters of appointment. Photo – NjTelegraph.
[+영상] “김건희 주가조작·마약 수사외압 특검, 법치주의 증명할 기회”
2025년 4월21일 오후 3시33분. 우원식 국회의장은 21일 국회의장 접견실에서 열린 특별검사 후보 추천위원 위촉식에서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과 마약 수사 외압 의혹은 국민적 의혹이 큰 사안”이라며 “이번 상설 특검은 헌법 정신을 구현하고 법치주의가 작동함을 증명하는 기회”라고 밝혔다.
우 의장은 “두 건 모두 전직 대통령 배우자와 대통령실이 관련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사건”이라며 “그동안 수사와 조사가 있었지만 국민이 납득하지 못한 채 신뢰할 수 있는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4개월간 헌법과 법률을 위반한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거치며, 우리는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는 헌법 명령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만큼 정쟁이 아니라 제도에 따라 진상을 밝히는 것이 민주주의의 안정성을 높이는 길”이라며 “대통령 권한대행이 법에 따라 특검 후보 추천 요청을 이행할지 여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회가 추천위를 구성하면 대통령은 지체 없이 후보자 추천을 의뢰해야 하며, 이는 선택이 아닌 의무”라며 “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국회의 권한을 침해하고, 특검 제도 자체를 무력화시키는 것이며 법 위에 군림하겠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우 의장은 “정치적 중립성과 도덕성을 갖춘 인물, 수사 역량이 충분한 후보를 신속히 추천해 진실을 밝힐 수 있도록 준비해 달라”며 “국회는 국회의 일을 다할 것이며, 책임 있는 논의를 통해 최적의 후보가 추천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설특검은 김건희 여사 관련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대통령실의 마약 수사 외압 의혹 등에 대한 진상 규명을 목표로 한다.
이날 김석우 법무부 차관, 김정욱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 출신 박판규 변호사, 배형원 법원행정처 차장, 신의철 법무법인율립 부설 헌법연구소 소장 등이 위촉장을 받았다.
South Korea’s Parliamentary Speaker Urges Integrity in Special Counsel Probe Into First Lady Scandals
By NjTelegraph Writer | April 21, 2025
SEOUL —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 Speaker Woo Won-shik called on the acting president Monday to honor constitutional obligations and proceed without delay in appointing a special counsel to investigate explosive allegations involving First Lady Kim Keon-hee and the presidential office.
Speaking at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appointment ceremony of the special counsel nomination committee, Speaker Woo said the allegations — including stock manipulation linked to Deutsche Motors and claims of interference in drug investigations — are “matters of deep public concern.”
“These are not just political controversies,” Woo said. “They touch the core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that all citizens are equal before the law. This special counsel is a chance to reaffirm that the rule of law still functions in this country.”
Woo underscored the unprecedented nature of the scandal, noting that both cases involve accusations against the spouse of a former president and the presidential office itself. He emphasized that while investigations had previously been conducted, “they failed to earn the public’s trust or lead to satisfactory conclusions.”
The speaker referenced the recent impeachment of former President Yoon Suk Yeol as a turning point for South Korea’s democracy. “In the last four months, through the historic process of impeaching a president who violated the Constitution and the law, we have reconfirmed the commandment that all people stand equal before the law,” he stated.
Woo also cautioned the current acting president, Han Duck-soo, who holds executive authority in the wake of Yoon’s removal, not to obstruct the legal process. “Once the National Assembly forms the nomination committee, the president must request candidates from the committee without delay. This is not optional — it is a constitutional obligation,” he said.
Failure to act, Woo warned, would amount to “infringement upon legislative authority” and an attempt to “nullify the independent counsel system, placing the presidency above the law.”
He urged the committee to swiftly recommend “a candidate with political neutrality, moral integrity, and sufficient prosecutorial capability,” adding that the Assembly “will do its part” to ensure a legitimate and credible investigation.
The permanent special counsel will focus on determining the truth behind allegations surrounding Kim Keon-hee’s alleged involvement in stock manipulation and reported pressure from the presidential office to suppress drug-related investigations.
Those appointed to the nomination committee include Vice Minister of Justice Kim Seok-woo, Korean Bar Association President Kim Jung-wook, former Seoul District Court Judge Park Pan-kyu, Court Administration Office Deputy Director Bae Hyung-won, and Shin Ui-chul, head of the Constitutional Research Institute under Yullip Law Firm.
#WooWonShik #KimKeonHee #SpecialCounsel #SouthKoreaPolitics #RuleOfLaw
지난 6일 특별 담화를 하고 있는 우원식 국회의장. 사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개헌은 대선 이후에 추진하는 것으로, 입장 변경
2025년 4월9일 오후 12시30분. 우원식 국회의장은 9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대선과 동시에 개헌을 추진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개헌 논의는 차기 대통령 선출 이후 국민적 공감대와 정당 간 합의에 기반해 이어가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우 의장은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등 일부 정당이 최근 위헌‧불법 비상계엄 대응에 집중하고 있어 개헌 논의보다 정국 안정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보였다고 전했다. 또한 국민의힘이 제안한 국회 권한 축소형 개헌안에 대해서는 실질적 합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대통령 권한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회 동의 없이 헌법재판관을 지명한 사례를 언급하며, 국회 권한을 무시한 행정부의 일방적 조치가 정국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앞서 제헌절 경축사에서 2026년 지방선거와 동시에 개헌을 추진하자고 공식 제안한 바 있으며, 지난 일요일 특별 담화에서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우 의장은 12월 3일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계엄 승인권 도입 등 국회의 제도적 보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을 언급했다. 또한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 범위를 명확히 헌법에 규정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감사원의 회계 검사권을 국회로 이관하고, 기획재정부의 예산권 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국회의 예산 자율권 확보 등도 개헌 논의의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는 “개헌은 헌법이 아닌 위헌적 권력 남용을 방지하는 제도적 장치”라며, 다시는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국회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각 정당의 대선 후보들이 개헌 방향과 핵심 내용을 공약으로 제시해 국민적 논의의 장이 열리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우 의장은 자신이 내각제 개헌을 주장했다는 일부 주장을 일축하며,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뽑는 직선제를 기반으로 한 4년 중임제 개헌을 일관되게 주장해왔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정치는 말로 하는 것”이라며, 진지하고 성숙한 토론 문화의 회복을 통해 국회와 정치가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원식
#개헌논의
#4년중임제
#비상계엄사태
#국회권한
한덕수의 헌법재판관 지명 철회 요구
2025년 4월8일 오후 12시30분. 우원식 국회의장은 8일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을 지명한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하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그는 대통령 궐위 상태에서 권한대행이 대통령 고유 권한인 헌법기관 구성권을 행사하는 것은 헌법적 정당성을 벗어난 행위라고 비판했다.
우 의장은 이번 지명이 권한대행의 임시적 지위와 맞지 않는 결정이라며, 민주적 정당성이 없는 상태에서 최소한의 역할에만 머물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과거 한덕수 대행이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과 대법원장이 제청한 대법관의 임명을 거부하고, 국회가 의결한 상설특검 추천도 이행하지 않은 점을 들어, 이번 지명은 그간의 입장과도 모순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 의장은 권한대행이 헌법상 의무와 법률상 책임조차 이행하지 않은 채, 대통령에게 부여된 권한까지 행사하려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과를 요구하며, 이번 헌법재판관 지명을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아울러 국회는 인사청문회 요청을 접수하지 않을 예정이며, 필요 시 모든 대응 수단을 강구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헌법재판관지명 #우원식국회의장 #한덕수권한대행 #권한남용논란 #대통령궐위사태
우원식 국회의장, “지금이 개헌 적기”…국민투표 동시 시행 제안
2025년 4월6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지금이 개헌을 추진할 적기”라며, 차기 대통령 선거와 동시에 개헌 국민투표를 실시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이번 제안을 통해 정치·사회 구조 전반의 전환을 위한 헌법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우 의장은 최근 헌정 질서의 위기와 반복되는 권력 갈등이 개헌의 시급성을 부각시켰다며, “극단적 대결 정치를 끝내고 국민 통합과 주권 실현을 위한 권력 분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비상계엄 논란과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지금이 개헌을 위한 결정적인 시기라고 판단했다.
그는 제왕적 대통령제와 승자독식 정치 구조를 국민이 바꾸길 원하고 있으며, 이를 제도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선 삼권분립의 기초를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헌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변화한 사회 현실에 맞는 헌법 개정도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우 의장은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38년이 지났고, 그 사이 국민의 주권 의식과 사회 구조는 크게 달라졌다”며, 현실과 헌법 간 괴리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먼저 ‘국민투표법 개정’과 ‘국회 헌법개정특위 구성’을 제안했다. 그는 국민투표법이 오랜 기간 개정되지 않아 사전투표제, 선거연령 하향 등 현행 공직선거법과 충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재외국민 투표권 관련 조항의 헌법불합치 상태를 해소해야 한다며, 관련 개정안이 이미 발의돼 있는 만큼 시기를 놓치지 말고 조속히 논의에 착수하자고 촉구했다.
아울러 개헌특위 구성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개헌 추진에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즉각적인 특위 구성과 논의 착수를 통해 1차 최소 개헌안을 신속히 도출하자는 입장이다. 그는 이미 축적된 논의를 바탕으로 빠른 시일 내 헌법개정안 도출이 가능하다며, 국회의장으로서 이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우 의장은 “지금 개헌은 정치·사회적 갈등을 줄이고 대한민국이 다시 도약하기 위한 길”이라며, 국민의 역량과 정치의 결단이 결합된다면 ‘국민주권, 국민통합 개헌’을 실현할 수 있다고 호소했다.
#우원식국회의장 #개헌제안 #국민투표법개정 #권력구조개편 #국민주권강화
국회의장 우원식 재산 내역 공개(2024년 12월31일 기준, 2025년 3월28일 공개)
우원식 의장. 사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영상 갈무리
“헌재 결정으로 헌법해석 공백 해소…총리는 헌법재판관 즉각 임명해야”
2025년 3월24일 오후 2시56분. 우원식 국회의장은 24일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기각 결정 직후 입장문을 내고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한다”며 “헌법해석의 공백은 해소됐다”고 평가했다.
우 의장은 이날 입장문에서 “대통령 권한대행 중인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 의결정족수를 두고 여러 해석이 있었으나, 헌재는 ‘헌법 제65조 제2항 본문에 따라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족하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회의장은 명시적 의결정족수 규정이 없는 상황에서 의사 진행을 위해 헌법학계의 여러 의견을 종합하는 등 최선의 판단을 하고자 했다”며 “오늘 헌재 결정으로 국회 의결의 적법성뿐 아니라 헌법해석의 공백이 해소됐다고 본다. 큰 의미가 있으며, 더 이상의 논란은 없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또 헌재가 “국회가 선출하도록 되어 있는 3인의 재판관을 피청구인이 임명하지 않은 것은 헌법과 법률에 따른 구체적 작위의무특정한 행위를 반드시 해야 할 법적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헌법과 법률에 위반한 때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점에 주목했다.
그는 “국회가 헌법재판관 후보를 선출한 지 석 달이 지났고, 헌재는 이미 권한쟁의 심판을 통해 결론을 내린 바 있다”며 “정부가 헌재의 헌법적 판단을 거부하는 것은 법치주의를 훼손하는 온당하지 않은 일이며, 헌재 판단이 이행되지 않는 전례를 만들어서도 안 된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우 의장은 “한덕수 총리는 즉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를 임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민은 헌법에 대항하는 최상목의 행위를 용납하지 않을 것
2025년 3월12일 오후 3시5분. 우원식 국회의장이 12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을 즉시 임명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우 의장은 최상목 권한대행에게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이행하지 않는 것은 헌법수호 의무를 배반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헌재가 이미 대통령과 국무총리, 국무위원이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을 임의로 임명 거부하거나 선별하여 임명할 수 없다고 판결한 바 있다”면서 “헌재 결정 이후 2주가 지났음에도 이 헌법상 의무가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우 의장은 헌재 판결 불이행이 초래할 세 가지 문제를 지적했다. 첫째, 헌법질서를 부정하는 행위라는 점이다. 그는 “헌재의 결정을 이행하지 않는 것은 입법부와 헌재의 헌법적 지위를 부정하고 공직자로서의 헌법수호 의무를 저버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둘째, 국가적 불안정성을 가중시킨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헌재 결정 불이행은 우리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비상계엄을 거치며 민주주의와 헌정질서의 작동이 경제 안정의 선결 조건임을 확인했음에도,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를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내적으로 나라의 불안정성을 높이고, 지난 3개월간 대외 신인도 회복을 위한 노력을 무산시키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셋째, 사회통합 차원에서도 위험한 선례를 남긴다고 경고했다. 우 의장은 “헌재 결정을 따르지 않는 것은 헌법을 무시하는 것이며, 이런 방식으로 사회통합을 이룰 수 없다”며 “헌재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 대한민국은 다음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헌재 결정을 무시하는 행위는 국가 운영에 중대한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며 “국정의 안정을 위해 헌재 결정을 신속히 이행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우 의장은 최 권한대행에게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 후보를 언제 임명할 것인지, 즉시 임명하지 않을 것이라면 위헌적 상황과 국회의 권한 침해를 지속시키는 이유를 공개적으로 밝히라”고 요구했다. 또한, “국회의 임명 동의 후 80일 가까이 지나도록 대법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고, 내란특검 후보자 추천 의뢰를 하지 않는 이유도 설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은 헌법에 대항하는 행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통령 권한대행이 헌법적 의무를 방기한 공직자로 역사에 기록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경고했다.
우원식 의장이 하오 펑 랴오닝성 당 서기와 악수하고 있다. 사진- 국회사무국 공보국
우원식 "순국 115년 된 안중근 의사 유해봉환, 한국 국민 염원"
2025년 2월10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8일 하오 펑 랴오닝성 당 서기와 면담을 갖고 한중 지방교류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우 의장은 앞서 5일 자오 러지 전인대 상무위원장, 7일 시진핑 국가주석과 면담한 데 이어 중국 고위급 인사들과의 교류를 이어갔다.
우 의장은 면담에서 "지방교류는 한중관계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랴오닝성을 포함한 동북3성은 한국과 역사적, 문화적, 정서적 유대가 깊은 지역"이라며 "국회의장으로서 동북3성을 방문한 것은 한중관계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또한, "2024년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고위급 교류가 재개되고, 하오 펑 서기의 방한도 의미가 크다"며 "국회도 한중 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초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제 협력과 관련해 우 의장은 "2022년 한국의 랴오닝성 투자금액이 50억 달러를 넘어 중국 31개 성·시 중 1위를 기록했다"며 "현지 경제에 기여하는 한국 기업들의 활동을 적극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랴오닝성에서 활동하는 한국 국민과 관광객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당부했다.
우 의장은 안중근 의사 관련 유적지와 독립운동 사적지의 관리 및 보존 협력을 요청하며 "올해 순국 115년이 된 안중근 의사의 유해봉환은 한국 국민의 염원"이라며 랴오닝성 측의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대해 하오 서기는 "랴오닝성과 한국 지자체의 교류를 적극 지원하겠다"며 "더 많은 한국 의원 대표단이 랴오닝성을 방문하고, 교육·문화·스포츠·청소년 교류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제협력과 관련해서도 "랴오닝성과 한국은 경제구조의 보완성이 높아 협력 가능성이 크다"며 "비즈니스 환경을 개선해 더 많은 한국 기업과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안중근 의사 유해봉환과 독립운동 사적지 보존과 관련해 하오 서기는 "안중근 의사가 민족의 영웅이라는 점을 충분히 이해한다"며 "유해 발굴과 사적지 보존을 위해 중국 중앙정부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면담에는 한국 측에서 김태년(더불어민주당, 5선), 이헌승(국민의힘, 4선), 박정(더불어민주당, 3선), 배현진(국민의힘, 재선), 신장식(조국혁신당, 초선), 김용만(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과 조오섭 의장비서실장, 박태서 공보수석비서관, 조경숙 메시지수석비서관, 정운진 외교특임대사, 구현우 국제국장이 참석했다. 중국 측에서는 리진빈 전인대 환경및자원보호위원회 부주임위원, 리러청 랴오닝성 당 부서기, 장유웨이 랴오닝성 상무위원 등이 배석했다.
우원식 국회의장과 시진핑 주석이 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 - 국회
우원식 국회의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단독회담
2025년 2월7일. 중국을 공식 방문 중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7일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단독회담을 가졌다. 회담은 현지시간 오후 4시 하얼빈 시내 태양도 호텔에서 40여 분간 진행됐으며, 양측은 한중관계 발전 및 공통의 관심사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단독회담은 2014년 12월 정의화 당시 국회의장 이후 11년 만에 성사됐으며, 지난해 12월 중국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시 주석이 한국의 고위 인사를 공식적으로 만난 첫 사례다.
우 의장은 회담에서 중국이 한중 관계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준 데 대해 감사를 표하며, "한국이 불안정을 겪지 않고 위기를 극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올해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참석해 줄 것을 요청했다.
우 의장은 "중국은 여전히 한국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라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 투자 후속 협상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하고, 공급망 안정적 관리 및 첨단산업 분야 협력을 강화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한,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기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 주석의 관심을 당부했다.
역사적 사안과 관련해 우 의장은 "우리 독립운동의 주무대였던 중국 내 독립유적지의 보존과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 및 송환에도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문화 교류 확대를 강조하며, "한국에서는 중국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문화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지만, 중국에서는 한국 문화 콘텐츠가 제한적이다"며, 문화 개방 필요성을 언급했다.
시 주석은 "수교 이후 한중 관계가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동북아 평화에 기여했다"며 "국제·역내 정세가 불확실하지만 양국 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시 주석은 올해 한국에서 APEC 정상회의가 열리고 내년에는 중국에서 개최된다는 점을 언급하며, "국가주석이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것이 관례인 만큼 관련 부처와 논의 중이며, 진지하게 참석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과 관련해 시 주석은 "중국은 이 사안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한국 측의 구체적인 요청이 있으면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문화 교류에 대해 "문화 교류는 양국 관계의 중요한 요소이며, 문제 발생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난해 중국 정부가 한국인에 대한 사증 면제를 시행한 이후 한국 관광객의 중국 방문이 증가했으며, 앞으로 중국인들의 한국 방문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담에는 한국 측에서 김태년(더불어민주당, 5선), 이헌승(국민의힘, 4선), 박정(더불어민주당, 3선), 배현진(국민의힘, 재선), 신장식(조국혁신당, 초선), 김용만(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과 김한규 주중한국대사관 대사대리가 참석했다. 중국 측에서는 왕이 외교부장, 탕팡위 중앙정책연구실 부주임, 뤼루화 국가주석비서 등이 배석했다.
우원식 ‘67세 국회의장의 월담’ 이야기 소개
2025년 2월4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 12월 4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국회를 소집하고 계엄 해제 결의안을 통과시키며 국회 수호자로서의 역할을 설명했다. 그는 4일 MBC에서 방영된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 계엄령 선포 당시의 긴박했던 순간과 국회가 민주주의를 지켜낸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우 의장은 인터뷰에서 “국회는 국민의 뜻을 실현하는 장이며, 국회의장은 누구의 편도 아닌 국민의 편”이라며 자신이 계엄 해제 결의안을 신속히 처리한 이유를 밝혔다. 계엄령 선포 소식을 접한 후 그는 즉각 국회로 향했고, 계엄군이 국회 진입을 시도하는 상황 속에서도 본회의를 열어 계엄 해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는 계엄에 대한 준비가 있었냐는 앵커의 질문에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이 계엄 전문가다. 박근혜 전 대통령 때도 계엄 이야기가 있지 않았나. 그때 이 내용을 면밀히 조사한 사람이 김민기 사무총장이다. 그가 자주 계엄이 나면 이렇게 저렇게 해야 한다고 말해줬고 마음속의 준비는 조금 했지만 진짜로 계엄을 할 줄은 몰랐다. 12월3일에도 김민기 사무총장의 전화를 받고 한남동 관저에서 25분만에 차를 타고 국회에 진입했다"라고 설명했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국회의장 공관에서 긴급 연락을 받은 우 의장은 즉시 국회로 이동했다. 국회 주변이 경찰과 계엄군으로 봉쇄된 상황에서 그는 국회 후문을 통해 진입했고, 결국 국회 담장을 넘어 본회의장에 도착했다. 이 장면은 이후 ‘67세 국회의장의 월담’으로 화제가 됐다.
그는 “국회가 계엄 해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어떻게든 들어가야 한다는 생각뿐이었다”며 당시의 긴박했던 순간을 회상했다. 국회 진입 후에는 계엄군이 본청 앞을 막아선 가운데 본회의장으로 이동해 계엄 해제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고, 결국 가결을 선포했다.
그는 국회를 월담에서 들어간 후 국회의장실에서 계엄해제 절차를 국회팀과 논의했고 의장실에 있으면 계엄군에 잡혀갈 것 같아서 국회 의사당 5층 전층에 불을 켜고 한 사무실에서 본회의장에 들어갈 시점을 고민했다고 전했다.
그는 “국회의장으로서 절차를 틀리지 않게 해야 했다”며 극도로 긴박한 상황에서도 국회법에 따른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했음을 강조했다. 실제 윤석열 측은 당일 국회법을 들여다봤다고 했고 윤석열은 헌법재판소 변론에서 "국회가 절차를 제대로 따르지 않고 계엄 해제를 했지만 나는 그대로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이에 우 의장은 "(윤석열 측에서 그렇게 나올줄 알고) 철저히 진행했고 하나씩 따져보면 절차상 하자가 전혀 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우리 의사진행 국장이 얼마나 철저하고 경험많고 꼼꼼한 사람인지 모른다. 그의 조언에 따라 진행했기에 절차성 문제는 전혀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계엄군의 압박 속에서도 본회의장을 사수한 국회의원들과 시민들의 저항이 민주주의를 지켜낸 원동력이었다고 평가했다.
우 의장은 계엄 사태 직후 윤석열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 신분으로는 최초로 구속 기소된 것에 대해 “아주 불행한 사태”라고 평가하며 탄핵 심판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공정성과 중립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의 성향이 논란이 되는 상황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대통령, 국회, 대법원이 각각 추천하는 인사들로 구성되므로 한쪽 성향만 문제 삼는 것은 부당하다”며 헌재의 독립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탄핵소추안이 첫 번째 표결에서 부결된 것에 대해서는 “국회가 군인에 의해 침탈당한 사건인데도 표결조차 하지 않는 모습을 보고 속이 상했다”며 결국 국민적 압박 속에서 일주일 후 204표로 탄핵안이 가결된 점을 강조했다. “결국 국민이 민주주의를 지켰다”며 국회의 역할과 책임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우 의장은 국회의장 당선 후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가 냉랭했음을 언급했다. 그는 “국회의장이 되면 대통령으로부터 축하 전화를 받는 것이 관례인데, 윤 대통령은 전화를 걸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다음날 현충일 행사에서도 대통령이 자신을 의도적으로 피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고 전했다. 우 의장은 "아마도 그때 계엄을 생각하고 있었다고 추측한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차기 대선 출마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국회의장으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선을 그었다. “26년 5월 29일까지 임기를 완수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현재의 역할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 앵커의 거듭된 출마 의향 질문에 그는 26년 5월29일만 강조했다.
우 의장은 팬덤 정치와 여야 갈등에 대한 질문에 대해 "팬덤이 무조건 나쁘다라기보다는 팬덤 정치가 원든 원치 않든 있는 것이고 지금처럼 양극화가 돼서 막 갈등이 심한 속에는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데 이것을 사회 변혁의 동력으로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는 그거는 각자 국회의원들이 그것을 대하는 태도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정치적 갈등을 조정하고 국회의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국회의장의 책임"이라고 답했다.
그는 국회의장으로서 중립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면서도 “중립이 몰가치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중립이라고 해서 여야가 합의 안 하면 아무것도 안 하면 국회가 무력화 돼 버린다. 중립은 중간에서 어떻게 하든 합의를 이루도록 이끄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부드러운 이미지가 있는 것 아닌가"라는 손 앵커의 질문에 우 의장은 "소싯적 이야기를 하면 전두환 때인 81년 5월 광주항쟁 1주기를 기념해서 시위를 하고 잡혀가서 1심 1년을 받았는데 2심에서 광주 민주화 운동 광주항쟁에 많은 분들이 목숨을 잃었고 그렇게 한 정권과 나는 끝까지 싸우겠다고 했더니 2심에서 3년을 받았다. 그리고 2년 8개월쯤 살고 나왔는데 저희 외조부가 독립운동하신 분이다. 외조부는 임시정부 법무국 비서국장을 하다가 김상옥 종로경찰서 폭탄을 투척한 의열단 사건을 폭탄 대준 혐의로 감옥을 갔다. 재판에서 5년형을 받았는데 이후 강력한 진술을 하는 바람에 7년 받았다. 어머니가 '우리 집안은 최후 진술 때문에 2년씩 더 받는 집안이다'라고 말씀하시곤 했다"라고 집안 내력으로 강한 면모를 설명했다.
우 의장은 마지막으로 “민주주의를 해치는 세력과 맞서 싸우는 것이 국회의 역할”이라며 국민과 함께 국회를 지켜내겠다는 다짐을 밝혔다.
2025년 2월3일. "국민은 먹고 살기 너무 힘들다고 합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3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임시국회 개회사를 통해 여야가 민생을 위해 조기 추경에 합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지난 2개월간 민주주의 위기감으로 민생과 미래 의제 논의가 사실상 중단됐다”며 “이제 그 시간을 만회하는 2월 국회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외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추세와 축소된 민생예산을 지적하며 추경 편성으로 경기 부양 및 소비·투자를 진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경 시기와 구체적 내용은 이견이 있어도 우선 추경 규모에 합의하고 머리를 맞대자”고 제안하면서, 이달 하순 한국은행 수정 전망치 발표 전 조속한 합의를 촉구했다.
그는 '현장에 나가보면 많은 분들의 삶이 너무 힘들다고 한다. 소상공인들은 차라리 폐업하고 싶은데 그 비용도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장사를 이어가는데 도대체 언제 이 혼란을 끝낼 것이냐고 묻는다'며 '정치가 국민의 어려움을 빨리 해소시켜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2대 국회는 "본회의는 많이 열었지만 처리한 법안은 더 적었다. 21대 국회보다 267건이 적었다. 논쟁과 주장은 있었지만 입법을 위한 협력과 협상은 부족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12.3 비상 계엄 사태의 영향이 크긴 했지만 이유를 막론하고 국회가 어려움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 의장은 약자 보호와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민생 입법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고용보험 제도 개선, 노란우산 공제 확대, 채무조정 제도 보완 등은 이미 여야가 뜻을 같이하고 있어 조만간 처리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한 반도체특별법과 에너지3법 등 법안 협상도 신속히 마무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국제 정세와 첨단 기술 변화 속에서 우리 기업과 기술 경쟁력을 높이려면 국회와 정부가 합심해 적극적인 통상·산업 대응 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관련 상임위가 참여하는 특별위원회 구성 등도 방안으로 제시했다.
-emo["\ud83c\udf74"]ji--emo["\ud83c\udf5c"]ji- [+영상] 국민은 “먹고 살기 너무 힘들다” 절규! 소상공인은 폐업조차 못 해 발만 동동-emo["\ud83d\ude31"]ji-
-emo["\ud83d\udca5"]ji-#우원식 #국회의장 “여야는 조기 추경으로 민생·경제 살리자!” 외치며, 고용보험·노란우산·채무조정 등 약자 보호 입법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
⚙️#반도체특별법 #에너지3법 같은 미래산업 법안도 빨리… pic.twitter.com/ICJFZqTJKP
— New Journalist Today (NjT) (@gugguro) February 3, 2025
2024년 12월14일 윤석열 탄핵 소추안 통과를 선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는 우원식 의장. 사진 - 뉴저널리스트 투데이
[Log 들어가는 글] 우원식, 민생 정치인에서 국회 수장으로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선출됐다. 그는 친이재명계로 분류되면서도 비교적 온건한 정치인으로 평가받으며,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을 제치고 의장직에 올랐다. 국회의장 당선 이후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에 맞서 국회를 소집하고 계엄 해제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강경 대응을 주도했다.
학생운동과 정치 입문
1957년 서울에서 태어난 우원식은 연세대학교 공과대학에 진학했지만, 1977년 학생운동에 참여해 박정희 정권 퇴진 운동을 벌이다 강제징집됐다. 이후 전두환 정권 반대 시위를 주도해 1981년 구속되면서 연세대에서 제적됐다. 1987년 민주화운동이 본격화되자 문익환 목사와 함께 김대중 지지운동에 참여했고, 1988년 평화민주당에 입당하며 현실정치에 뛰어들었다. 이후 신민주연합당 소속으로 서울시의회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1995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원에 당선되며 정계에 본격적으로 입문했다.
국회의원 경력과 ‘을지로위원회’ 활동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서울 노원구 을에서 당선되며 첫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이후 19·20·21·22대 총선에서 당선되며 5선 의원이 됐다. 국회에서는 주로 민생 문제에 집중하며 ‘을지로위원회’를 창설해 대기업의 ‘갑질’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섰다. ‘갑의 횡포로 삶의 벼랑 끝에 내몰린 ‘을’들의 피해를 구제하고, 을 살리기 입법을 추진하고, 우리 사회 전반의 불공정 관행을 바로잡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2013년 5월에 발족해 더민주당 소속 의원 수십명이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남양유업 사태, 우체국 택배 노동자 처우 개선, 용산 화상경마도박장 폐쇄, 삼성 반도체 백혈병 피해보상 등 다양한 노동·경제 이슈에서 성과를 냈다.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로 선출돼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드루킹 특검, 추경안 처리 등에서 야당과의 갈등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강경 지지층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2018년 원내대표 임기를 마친 후에도 당내 주요 역할을 맡아왔다.
2020년 21대 총선에서 4선에 성공한 우원식은 민주당 당권 도전을 고민했으나, 이낙연·김부겸 후보 간 경쟁 구도 속에서 출마를 포기했다. 이후 2021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 경선에 도전했으나 3위로 낙선했다. 2022년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며 본격적으로 친이재명계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이후 2023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며 단식 농성을 벌였고, 민주당의 ‘후쿠시마 오염수 저지 총괄대책위원장’을 맡아 일본을 방문하는 등 강경 투쟁을 주도했다. 같은 해 9월 이재명 대표가 단식을 시작하자 곁을 지키며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2024년 4월 제22대 총선에서 5선에 성공했다. 선거구 개편으로 경쟁이 치열했으나, 노원구 갑에서 고용진 의원과의 공천 경쟁에서 승리하고 본선에서도 국민의힘 후보를 압도적인 득표율로 누르고 당선됐다. 이후 국회의장 선거에서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맞붙었으나, 강성 성향인 추미애에 대한 당내 견제심리가 작용하며 예상과 달리 우원식이 당선됐다.
국회의장으로 선출된 후 그는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하나 된 민주당”이라는 메시지를 내며 당내 결속을 강조했다. 그러나 정청래 의원 등 강성 당원들은 그의 당선을 두고 당원 여론을 반영하지 않은 결정이라며 반발했다.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우 의장은 즉각 국회를 소집하고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국회 진입이 막히자 담을 넘어가 국회의사당에 들어가는 모습이 포착됐으며, 이후 190명의 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계엄 해제안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우 의장은 "비상계엄은 무효이며, 군경은 철수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표결에 부쳐 1차 표결에서는 국민의힘 의원들의 보이콧으로 무산됐으나, 2차 표결에서 찬성 204표로 가결됐다. 우 의장은 탄핵소추의결서에 서명한 뒤 이를 헌법재판소에 송부하며 공식적인 탄핵 절차를 개시했다.
국회의장으로서 강경한 대응을 주도한 그는 계엄 사태 이후 높은 신뢰도를 기록하며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대선 출마 가능성을 부인하며 “국회의장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