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김문수는 어떤 나라를 만들고 싶은 것인가 “자유·성장·안보” 10대 핵심공약 [김문수-Log]

등록일 2025년05월15일 13시51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2025년 5월15일  김문수는 어떤 나라를 만들고 싶은 것인가 “자유·성장·안보” 10대 핵심공약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는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새롭게 앞으로, 위대한 대한민국’을 기치로 내건 10대 대통령 공약을 공식 제출했다. 이 공약들은 경제 활성화, 인공지능과 에너지 육성, 청년·서민 지원, 지역균형발전, 안보 강화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김 후보가 도지사 시절의 경험과 정책 철학을 바탕으로 제시한 것이다.

 

김 후보는 첫 번째 공약으로 기업 환경 개선과 일자리 창출을 내세웠다. 과거 경기도지사 시절 삼성 평택 반도체 공장 유치를 예로 들며, ‘자본·기술·노동의 3대 혁신’을 통한 경제 재도약을 약속했다.

 

두 번째 공약은 AI 및 에너지 분야에서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AI 인재 20만 명 양성과 민관합동 100조 원 펀드 조성, 원자력 기술 고도화 및 과학기술부총리 신설 등이 핵심이다. 김 후보는 "AI 생태계를 집중 육성해 초격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청년 지원 정책도 눈에 띄었다. ‘3·3·3 청년주택’ 공급 공약을 중심으로, 결혼과 출산에 따라 총 9년간 주거비를 지원하는 정책이 포함됐다. 대학생 생활비 대출 확대, 병역 가산점 부활, AI 청년 스타트업 빌리지 조성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GTX 전국 확장 공약은 김 후보의 교통 철학을 반영한 대표 정책이다. 기존 수도권 GTX를 전국 5대 광역권으로 확대하고, 초광역권 메가시티 구상도 포함돼 있다. GTX A·B·C 노선 개통 및 연장, D~F 노선 착공도 임기 내 목표로 제시됐다.

 

중산층 확대 공약도 주목된다. 종합소득세 물가연동제, ISA 세제 지원, 상속세 개편 등 감세 중심의 세제 개편과 부동산 규제 완화를 통해 자산 증식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규제 완화로 민간 활력을 높여 중산층을 두텁게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복지 분야에서는 결혼·임신·출산·육아를 포괄하는 생애맞춤형 정책이 제시됐다. 신생아 계좌, 보육수당 확대, 임산부 건강지원 등과 함께, 산후조리원 평가 공표제 도입도 포함됐다. 어르신 돌봄·장애인 지원, 의료시스템 재건 등도 주요 내용이다.

 

소상공인을 위한 ‘응급지원 3대 패키지’와 대통령 직속 지원단 설치도 공약에 포함됐다. 카드 캐시백, 공공판로 확대, 온누리상품권 증액 등 내수 진작 대책도 제시됐다.

 

재난 대응 강화를 위한 공약에서는 사전 예방 중심 체계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기후환경부 신설, 재난대응 드론 및 로봇 도입, 하천 정비 등과 함께, 지하 안전 확보와 항공안전 혁신도 포함됐다.

 

공직사회의 신뢰 회복을 위한 제도 개편도 강조됐다.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폐지, 공수처 폐지, 감사원 감사를 선관위로 확대하는 방안과 함께, 이른바 ‘이재명 방지 감사관제’ 도입도 포함됐다.

 

마지막으로 안보 공약에서는 북핵 대응 능력 강화를 중심으로, 핵 공유 및 전술핵 재배치 논의, 한미 핵훈련 내실화, 한국형 3축 체계 고도화가 담겼다. AI 기반 복합전투체계 도입과 국방 R&D 확대, 장병 복지 개선도 포함됐다.

 

김 후보는 “강한 안보, 풍요로운 경제, 믿을 수 있는 정부로 국민이 안심하는 위대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Kim Moon-soo Unveils 10 Key Pledges for a “Great Korea” Focused on Growth, AI, and National Security

 

SEOUL — Kim Moon-soo, the presidential candidate for the People Power Party, formally submitted his 10 major policy pledges to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n Monday. Under the campaign theme “A New Path Forward, Toward a Great Korea,” Kim’s platform spans economic revitalization, AI and energy leadership, youth and small business support, infrastructure expansion, and a robust defense posture.

 

His first pledge centers on creating a business-friendly environment to stimulate job creation. Drawing on his experience as Gyeonggi Province governor, when he lobbied Samsung to build its massive semiconductor plant in Pyeongtaek, Kim advocates for a triple innovation strategy—capital, technology, and labor—to jumpstart the Korean economy.

 

Second, Kim vows to elevate South Korea into one of the top three AI and energy powers. The plan includes training 200,000 AI professionals, establishing a ₩100 trillion public-private fund, expanding nuclear power capacity, and forming a new Deputy Prime Minister post for Science and Technology.

 

For youth, his "3-3-3 Housing Plan" offers nine years of rental support to married couples with children, alongside expanded student loan programs, military service incentives, and AI startup incubators across the country. Kim emphasized easing the financial burden for young people as central to Korea’s future.

 

In transport, he proposes expanding the GTX high-speed rail system beyond the capital area to five major regional hubs, with all current and new lines (A to F) either completed or initiated during his term. This, he said, would reduce commute times and enable mor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Kim’s fifth pledge aims to broaden the middle class by cutting taxes, easing regulations, and restructuring real estate and inheritance laws. He proposed scrapping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nd simplifying asset management incentives.

 

On welfare, Kim introduced policies supporting families from birth to elder care. Highlights include expanded child subsidies, improved maternal health services, and a national system of “first-step accounts” for children. He also called for an overhaul of the healthcare system within six months of taking office.

 

Small business revitalization is another core pillar. Plans include emergency support packages, digital marketing platforms, cashback incentives for credit card purchases at local shops, and expanded traditional market infrastructure.

 

To enhance disaster resilience, Kim suggested shifting from reactive to proactive crisis management. This includes upgrading monitoring systems with AI and drones, creating a Ministry of Climate and Environment, and improving urban drainage and flood prevention infrastructure.

 

In governance, he advocated for dismantling privileges and restoring public trust. He pledged to abolish the National Assembly’s arrest immunity, allow audits of the election commission, and create new mechanisms to prevent internal corruption within public institutions.

 

Finally, Kim’s national security platform focuses on countering North Korea’s nuclear threat. Measures include expanding extended deterrence under the U.S.-Korea alliance, developing submarine-launched nuclear capabilities, and introducing AI-enhanced combat systems. Enhancing military benefits and investing in cutting-edge defense technologies are also part of his agenda.

 

“I will build a Korea where citizens feel secure, the economy grows stronger, and government regains public trust,” Kim declared.

 

왼쪽부터 강득구, 박관천, 정준호 의원. 대응단이 최근 발간한 ’김문수 내란비호집’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 NjT

 

2025년 5월13일  김문수 대선 후보로 만들어준 사람은 윤석열, 전광훈도 아닌 서영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서영교 민주당 의원이 대선 주자로 만들어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해 12월11일 대정부 질의 당시 한덕수 국무총리가 질문을 받고 있었고 질의자는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었다. 서영교 의원은 자리 앉아 있던 국무위원들을 향해 "모두 자리에서 일어나서 국민께 사과드리라"고 요구했고 이에 한덕수 총리가 "제가 대신하겠다"고 했지만 서 의원은 "이미 자리에서 일어나고 계신다"며 대국민 사과를 유도했다. 

 

국무의원들은 모두 일어나 머리를 숙여 사과했는데 이때 단 한 사람만이 자리에 그대로 앉아 있었다. 바로 김문수 당시 고용노동부장관이었다. 당시 뉴저널리스트 투데이도 그랬고 대부분 언론이 김문수를 질타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극우세력에서는 "김문수 멋있다"며 그를 추켜세우기 시작했고 늘 여론조사에 적극적이고 조직적으로 참여하는 극우세력 덕분에 지지도가 올라가 결국 대통령 후보가 되기에 이르렀다.  

 

국무위원들이 모두 국민 앞에 사과의 인사를 하는데 장관 #김문수 는 끝까지 앉아 있다. 대단한 사람이다. pic.twitter.com/Aqw8KdB65P

— New Journalist Today (NjT) (@gugguro) December 11, 2024

 

 

 

김문수 후보는 얼마 전 “나를 대선 후보 만든 건 서영교 의원”이라고 말했다. 이에 서영교 의원은 “국민의힘에는 미안하다. 정말 큰 짐을 안겨줬다”고 사과했다.

 

김문수 후보는 고용노동부장관 지명자 청문회 당시부터 뉴라이트 사상을 가졌다고 하여 엄청난 비판이 쏟아졌는데 극우세력은 뉴라이트운동과 맞닿아있기에 그들은 이때부터 김문수를 조용히 지지했다.

 

김문수 후보는 극우들과 사상이 비슷하기에 그들이 좋아하는 말을 쏟아낸 바 있다. 그는 당연히 내란을 옹호했고 그 발언들이 모아져 '김문수 내란옹호집'이 13일 발표됐다.

 

김 후보는 윤석열 내란사태를 옹호해온 입장에 대해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2일 밤 처음으로 사과를 표했지만, 진정성 논란이 일파만파로 번졌다. 사과에 진정성이 없어 보였다. 왜냐하면 위 영상에 나오는 것처럼 그는 '사과할 이유'를 전혀 찾지 못한 데다가 '계엄은 대통령의 권한'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국민의 비판이 쏟아질 수밖에 없다. 

 

비판이 쏟아지는 가운데, 민주당계 ‘진짜 대한민국 중앙선대위 신속대응단’은 13일 김 후보의 과거 발언들을 정리한 '김문수 내란비호집'을 공개하며 정면 대응에 나섰다.

 

김 후보는 그동안 윤석열 대통령의 12월 3일 계엄 사태와 관련해 “계엄은 대통령 고유 권한이며 위헌이 아니다”, “윤 대통령을 내란 수괴라고 부를 수 없다”, “계엄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 등 내란사태를 정당화하는 발언을 이어왔다. 특히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파면 결정에 대해서도 “헌법재판관 8명이 파면하는 게 민주주의냐”고 반발한 바 있다.

 

이러한 발언은 지난 160일간 일관되게 이어졌으며, 김 후보는 반성이나 사과 없이 대구 서문시장 유세 등에서 “나는 죽어도 거짓말은 못한다”, “가만히 있었더니 국민들이 날 대통령 후보로 만들었다”는 자평을 하기도 했다.

 

지난밤, 선거운동이 시작되자마자 김 후보는 돌연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는 짧은 말을 남기며 사과를 내놓았다. 이에 대해 진짜 대한민국 중앙선대위 신속대응단은 성명을 통해 “이것은 반성이 아닌 계산된 표 장사”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단장 강득구와 부단장 정준호·박관천은 “말은 바뀔 수 있어도 기록은 바뀌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김 후보의 일관된 내란비호 발언을 정리한 자료집을 국민에 공개했다.

 

대응단은 “정치인의 진정성은 말이 아니라 태도에서 나온다”며 “이번 선거는 국민의 상식을 지킬 사람이 누구인지 묻는 자리”라고 밝혔다.

 

이번 사태는 선거를 앞둔 민심의 향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의 사과가 진정한 반성인지, 아니면 선거 전략의 일환인지는 유권자의 판단에 달려 있다. 아래는 내란비호집의 일부 내용이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김문수 내란 비호집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11일 국민의힘 의총에 참가하기 위해 국회의사당 정문을 들어가기 직전 김문수 후보의 모습. 사진- NjT


2025년 5월11일. [국민의힘 70차 의원총회 김문수 후보 발언 전문]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경선 과정에서는 때때로 의견이 다를 수 있습니다. 때로는 말과 행동이 상처로 남기도 합니다.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로서, 저 역시 더 넓게 품지 못했던 점에 대해 이 자리에서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특히, 국민 여러분. 얼마나 애를 태우셨습니까?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더 잘하겠다는 다짐의 큰 절을 국민 여러분께 올립니다.
제가 부족한 점이 많지만, 우리 대한민국을 위해서, 그리고 국민의 행복을 위해서 저의 큰 절을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는 과거의 상처를 서로 보듬고 화합하여,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오늘부터 우리는 ‘원팀’입니다. 함께 싸우고, 함께 승리합시다.

 

존경하는 의원 여러분, 지금 대한민국은 중대한 위기 앞에 서 있습니다. 우리 경제는 제로성장의 늪에 빠져 있고, 초저출산은 국가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저는, 제가 사랑하는 대한민국이 과연 지금처럼 번영을 이어갈 수 있을지 두렵습니다. 그런데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어떻습니까? 나라가 빚더미에 오르는 것을 알면서도, 달콤한 거짓말로 국민을 현혹하고 있습니다.
 

의회 독재를 자행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방탄을 위해 사법부를 흔들고 있습니다. 주요 인사의 탄핵으로 정부를 마비시키더니, 이제는 아예 정부 전체를 장악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쯤 되면, 이재명 왕국을 만들겠다는 것 아닙니까? 이게 나라입니까? 이게 우리가 지켜온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입니까? 우리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파괴하려는 이재명과 그 세력을 반드시 심판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한 세력에 맞서, 대한민국을 지켜내야 합니다.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 재창출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운명을 가르는 역사적 순간입니다. 그 누구도 이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이것은 국민의 명령이자, 대한민국을 지키고자 하는 모든 이들의 절박한 열망입니다. 존경하는 국민의힘 국회의원 여러분, 대한민국의 헌정 질서를 지켜내기 위한 이 싸움에 모두 함께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저는 여러분과 함께 정권 재창출을 위해 제 모든 것을 바치겠습니다.


국민의힘을 대한민국을 지켜내는 ‘큰 집’으로 키우겠습니다. 반국가·반체제 세력을 막아내기 위해, 모든 세력을 하나로 모으겠습니다. 그 시작은 우리 당이 완전히 하나로 뭉치는 것입니다.

 

이제 대통령 선거를 위한 선거대책위원회가 출범합니다.

 

존경하는 의원님들께서 모두 동참하시어 힘을 보태주시기 바랍니다. 의원님들과 함께할 모든 준비가 저는 돼 있습니다. 항상 소통하고, 함께 뛰겠습니다. 저 김문수가 앞장서겠습니다.
 

의원님들과 함께 ‘김문수 정부’를 함께 세웁시다.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은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로서, 통합과 책임의 정치를 반드시 실현하겠습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발언을 마친 후 의총회장을 떠나는 상황이었지만 ’사진이라도 한장 찍자’며 의원들을 회의장 중앙으로 모아 기념촬영을 했다. 사진 - NjT.

 

2025년 5월11일. 김문수 "이재명 왕국 막아야"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는 11일 오후 3시 국회에서 열린 제70차 의원총회에서 “이제는 과거의 상처를 보듬고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가야 할 때”라며 의원들에게 원팀 정신과 대선 승리를 위한 결집을 호소했다.

 

김 후보는 모두발언에서 “경선 과정에서 저 역시 더 넓게 품지 못했던 점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국민들께 큰 절을 올린다”고 말했다. 그리고나서 그는 실제 큰 절을 올렸다. 

 

그는 이어 “오늘부터 우리는 원팀”이라며 “함께 싸우고 함께 승리하자”고 강조했다. 

 

경제 위기와 초저출산 문제를 거론한 김 후보는 “대한민국이 과연 지금처럼 번영을 이어갈 수 있을지 두렵다”며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나라가 빚더미에 오르는 것을 알면서도 달콤한 거짓말로 국민을 현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의회 독재, 사법부 흔들기, 주(主) 탄핵으로 정부를 마비시키고, 이젠 정부 전체를 장악하려 한다”며 “이재명 왕국을 만들겠다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어 “이게 나라냐, 우리가 지켜온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냐”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파괴하려는 이재명과 그 세력을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이번 대선을 “대한민국의 운명을 가르는 역사적 순간”이라고 규정하며, “정권 재창출은 국민의 명령이자 절박한 열망”이라고 말했다. “반국가 반체제 세력을 막아내기 위해 모든 세력을 하나로 모으겠다”고 밝힌 그는 “그 시작은 우리 당이 하나로 뭉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 후보는 “이제 선거대책위원회가 출범한다”며 “의원님들께서 모두 동참해주시기 바란다. 저 김문수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권성동 원내대표는 "오늘 아침 후보님은 대통령 후보 등록을 마쳤다.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당원들의 뜻이 김문수 후보님께 있는만큼 똘똘뭉쳐 정권창출에 매진하자"라고 말했다. 

 

전남에서 경청 투어를 하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이날 오후 3시30분쯤 "김문수 후보로 확정되신 것 축하드린다.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이 나라를 더 나라를 이끌어갈 것인지 발전적인 정책 대결이 있기를 바란다. 얼마나 먹고 살기 힘든 세상인가."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내란을 비호하는 후보를 내세워 어떻게 국민의 선택을 받겠나. 김문수 후보가 (윤석열 정부에 있었기에) 내란 행위에 대해 석고대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께서 쓴 김문수 후보를 응원하는 메시지를 봤는데, 국민에게 사죄부터 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덧붙였다.

 

한 시민단체가 10일 오후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권성동, 권영세 사퇴를 촉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 NjT

 

2025년 5월11일. 정치 쿠데타 하루만에 무산

 

국민의힘 내부에서 벌어진 '정치 쿠데타' 시도가 당원들의 집단적 저항에 의해 24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 무산됐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주도한 후보 교체 시도는 10일 여론조사 결과로 저지됐으며, 이로써 당의 민주적 절차가 재확인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10일 새벽, 당 지도부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긴급히 당원으로 등록시키고 단일화에 실패한 김문수 후보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대선 후보 변경을 시도했다. 하지만 10일 오후 9시까지 진행된 당원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를 지지하는 의견이 우세하면서, 해당 시도는 철회됐다.

 

이번 사태는 지난해 12월3일 시민에 의해 중단된 쿠데타 이후 두 번째로, 당원들이 정치 권력의 일탈을 차단한 사례로 주목된다.

 

10일 하루 '김문수 전 후보'였다가 '김문수 후보' 자리를 되찾은 김 후보는 성명서를 통해 "사필귀정, 민주영생, 독재필망"이라는 표현으로 이번 사태를 정리하며, 대선 승리를 위한 대통합과 반(反)이재명 연대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당내 경선에 참여한 후보들에게 감사를 전하며 선대위 즉각 출범을 예고했다.

 

권영세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단일화 실패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며 사퇴를 발표했다. 그는 “기호 2번 단일화를 위해 마지막까지 노력했으나 김문수 후보가 시간만 끌었고, 후보 등록 마감 직전까지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단일화 무산의 책임을 김 후보에게 돌렸다. 또한 김 후보가 법적 대응을 포함한 내부 공격을 지속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저는 우리당의 주어진 역사적인 책무, 그리고 끝까지 희망을 품고 계신 국민들의 명령을 거부할 수 없었다. 이대로 무너질 수 없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무거운 결단을 내렸다는 말씀을 드린다. 어떤 결과가 나오든 모든 책임은 제가 오롯이 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쿠데타 시도에 대해 당내 후보들은 일제히 비판의 목소리를 낸 바 있다. 한동훈 전 후보는 SNS를 통해 “친윤 세력의 쿠데타를 당원들이 막았다”며 당을 이 지경으로 몰고 간 책임자 전원 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우리 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당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전 후보도 “새벽의 막장 쿠데타는 하루도 가지 못하고 당원들의 힘으로 단호히 진압됐다”며 “정의와 공정, 민주주의는 위대한 당원들에 의해 지켜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제 김문수 후보를 중심으로 결집해 이재명 후보를 저지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치 쿠데타는 멈췄지만, 사법부에서 진행 중인 '사법 쿠데타'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윤석열을 석방시켜준 지귀연 판사와 이재명 재판을 대선 한달 앞두고 서둘러 진행해 파기환송을 판결한 조희대 대법원장을 중심으로 한 사법 판단이 민주주의 질서를 해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와 정치권에서는 청문회, 탄핵, 특검 등 다각적 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쿠데타의 우두머리인 윤석열 전 대통령은 여전히 아크로비스타 경호를 받으며 한강 산책을 하며 편안히 잘 지내고 있으며, 한덕수는 뻔뻔하게도 대선 출마를 시도한 바 있다. 지귀연 판사는 내란 관련 재판을 단독으로 맡고 있으며, 조희대 대법원장도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민과 당원의 조직된 저항은 정치 쿠데타를 저지했으나, 완전한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선 핵심 인물들의 책임 추궁과 구조 개편이 필수적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이 10일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NjT

 

2025년 5월10일. 대선 후보 등록 절차 형평성, 투명성에 문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주도한 대선 후보 등록 절차가 형평성과 투명성 논란에 휩싸였다. 10일 새벽 3시, 단 1시간 동안 진행된 후보 등록에 대해 “사실상 특정 후보를 위한 절차였다”는 비판이 당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를 “정당한 경선의 기회를 박탈한 정치적 조작”이라고 강도 높게 규정했다.

 

당규에 따르면 후보 등록은 공휴일을 불문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로 명시되어 있으나, 이번에는 이례적으로 심야 시간대에 이뤄졌다. 이에 대해 권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단일화 협상이 막판까지 지연된 결과이며, 가능한 한 마지막까지 합의를 시도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 해명에도 불구하고, 당안팎에서는 “이미 계획된 후보 전략공천을 단일화라는 명분으로 포장한 것”이라는 반발이 거세다.

 

기자들의 질의에 대해 권 위원장은 김문수 후보 측의 지연과 이의 제기가 등록 일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문수 전 후보의 지지자들은 “정해진 시간 내 등록이 어려울 것을 미리 알면서도 이를 강행한 것은 사실상 배제를 위한 의도적 조치”라고 반발했다.

 

특히 이번 등록 과정이 다른 후보들의 참여를 원천적으로 차단한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 절차는 두 후보 간 단일화를 전제로 한 것이지, 제3의 후보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과정은 아니었다”고 선을 그었다. 이는 단일화 실패 이후 절차를 재설계할 여지 없이,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진행됐다는 의혹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당원들 사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부 당원들은 “등록과 단일화가 급조된 방식으로 이뤄지면서 당내 민주주의가 훼손됐다”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현재 당원 투표가 진행 중인 가운데(오후 9시에 마감), 법원이 김문수 전 후보 측의 추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할 경우, 당의 후보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사태로 인해 권 위원장이 단행한 ‘단일화 중심 비상조치’가 오히려 국민의힘 내부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9일 김문수 후보의 모습. 사진- NjT

 

2025년 5월9일김문수-한덕수 단일화 3차 협상 결렬

 

국민의힘 내부에서 대선 후보 단일화를 둘러싼 갈등이 법원의 판단과 함께 본격적인 분수령을 맞았다. 서울남부지방법원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제기한 ‘대선 후보 지위 확인’과 ‘전국위원회·전당대회 개최 금지’에 대한 가처분 신청을 모두 기각했다. 그러나 법원 결정문에는 김 후보가 국민의힘의 공식 대통령 후보라는 사실이 명시돼 있어, 당내 후보 교체 시도에 대한 정당성과 합법성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과거 조국 전 장관의 아내인 정경심에 징역 4년 법정 구속을 판시한 바 있는 권성수 판사는 “당내 절차에 법원이 개입하기는 어렵다”는 이유로 가처분을 기각했다. 하지만 동시에 김문수가 당헌·당규에 따라 지난 5월 3일 전당대회에서 정식 후보로 선출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문수 후보 측은 “사법부조차 김 후보의 후보 지위를 부정하지 못했다”고 강조하며, 당 지도부의 후보 교체 시도는 정치공작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김문수 후보 캠프의 장영하 진실대응전략단장은 “법원도 김문수를 후보로 인정했다”며 “누구도 더는 흔들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일부 당 지도부가 단일화를 명분으로 김 후보를 배제하려는 시도를 “정치쿠데타”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세운 당을 무너뜨리는 배신의 정치”라고 경고했다.

 

한편, 이날 밤 진행된 단일화 협상은 시작 30분도 안 돼 결렬됐다. 김문수 후보 측 협상대표인 김재원 비서실장은 “정당 지지 여부를 묻지 않는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하자고 제안했으나,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 측이 강하게 반대했다”며 협상 결렬의 배경을 밝혔다. 역선택 방지 조항 없이 가자는 게 김문수 후보 측의 주장, 방지 조항을 갖고 실시하자는 게 한덕수 측의 주장이었다. 김재원 실장은 “한 후보 측은 자신들의 조건이 관철되지 않으면 협상 자체를 하지 않겠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 측은 이날 오후 ‘단일화 여론조사’에 대한 별도의 가처분 신청도 제기했다. 당 지도부는 당원과 일반 국민을 각각 50%씩 반영하는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해 단일 후보를 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나, 김 후보 측은 이를 강제적 교체 시도라고 보고 법적 대응에 나선 것이다. 해당 신청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당 지도부는 김 후보의 ‘당무 우선권’ 주장에 대해 “정당 결정권을 전면적으로 무력화할 수 있는 권리는 아니다”라고 반박하며, 전당대회 개최를 강행할 뜻을 내비치고 있다. 한덕수 후보는 단일화가 11일까지 이뤄지지 않으면 대선 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반면, 김 후보는 등록 이후에도 단일화는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이 다가오면서, 국민의힘은 후보 자격을 둘러싼 법적·정치적 공방 속에서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당내 분열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대선 정국의 향방은 아직 오리무중이다.

 

 

Kim Moon-soo Maintains Presidential Candidacy Amid Court Ruling and Failed Merger Talks

 

Seoul — On May 9, 2025, the People Power Party (국민의힘) faced escalating internal turmoil as its leadership clashed with its officially nominated presidential candidate, Kim Moon-soo (김문수), over efforts to merge his candidacy with independent contender Han Duck-soo (한덕수). The Seoul Southern District Court dismissed Kim’s injunctions seeking to block the party from convening a national convention and to reaffirm his candidacy, but simultaneously acknowledged his legitimate nomination.

 

While the court declined to interfere in the party's internal processes, it explicitly stated that Kim had been duly elected through the party’s May 3 convention, thereby affirming his legal status as the PPP’s candidate. Kim's campaign interpreted this as confirmation that any attempts to replace him would lack legal standing.

 

Jang Young-ha (장영하), head of Kim’s Truth Response Task Force, declared, “The court recognized Kim Moon-soo as the candidate. No one can shake him anymore.” He accused the PPP leadership of orchestrating a “political coup” under the guise of unification, undermining both party bylaws and member choice.

 

Later that day, unification talks between the two camps collapsed within 30 minutes. Kim’s chief of staff, Kim Jae-won (김재원), told reporters that the negotiations broke down over a dispute regarding whether to include party affiliation in a joint poll. He claimed Han's camp refused any compromise and insisted on conditions that Kim's team found unacceptable.

 

In response to ongoing attempts by the party leadership to use public opinion polls for forced unification, Kim’s camp filed an additional injunction to halt the proposed survey. The court has yet to rule on that application. Meanwhile, PPP officials continue to argue that “party affairs priority” does not override institutional decision-making power.

 

With the official candidate registration deadline set for May 11 and campaign season beginning immediately after, the PPP is facing a critical inflection point. Kim insists unification can occur even after registration, while Han has threatened to withdraw if a deal is not struck by the deadline.

 

The PPP now finds itself in a deepening crisis, balancing between legal validation, internal conflict, and electoral urgency as South Korea’s presidential election race intensifies.

 

김문수 후보.

 

2025년 5월8일김문수 “강제 단일화는 후보교체 시도…법적 대응도 불사”

 

서울 —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는 8일 오전 8시45분쯤 여의도 김문수 캠프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을 배제하고 무소속 한덕수 후보를 중심으로 단일화를 추진하려는 당 지도부의 움직임을 강하게 비판하며 즉각적인 중단을 요구했다. 그는 이러한 흐름을 ‘강제적 후보교체 시도’로 규정하고 법적 대응 가능성도 시사했다.

 

김 후보는 5월 3일 전당대회 승리 이후 당 지도부가 자신을 축출하려는 정황이 본격화됐다고 주장하며, 그 구체적 사실을 전날 밤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민주주의를 위해 일생을 바쳐 싸워왔다”며 “현재 진행되는 사태는 정당민주주의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회견에서 김 후보는 특히 한덕수 무소속 후보의 움직임에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당 지도부가 본선 후보 등록도 하지 않겠다는 무소속 후보를 위해 선대위를 구성했다”며 “한덕수 후보는 당이 시키는 대로 하겠다는 입장만 밝히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김 후보는 “강제 단일화에는 감동도 서사도 없다”고 강조하며, 양측이 일주일 간 선거운동을 벌이고, 다음 주 수요일에는 방송토론, 목요일과 금요일에는 여론조사를 통해 단일화 여부를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현재 방식대로 진행된다면 공멸의 길로 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김 후보는 “이후로도 후보 본인의 동의 없이 당이 일방적으로 정한 토론회에는 불참할 것”이라며, 당헌 제74조에 따라 당무우선권을 발동해 당 지도부의 강압적 단일화 요구를 차단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이를 두고 “정당한 후보를 끌어내리는 시도”라며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김 후보는 “나라를 구하기 위한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한덕수 후보와의 협상 노력은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정정당당한 대통령 후보로서 미래세대를 위해 반드시 승리하겠다”고 말하며 지지를 호소했다.

 

김 후보는 다음주 수요일쯤 TV토론을 하고 목, 금에 여론조사를 하는 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오늘 유튜브TV 토론과 이번주 여론조사를 밀어부칠 예정이다.

 

 

Kim Moon-soo Slams Forced Merger Talks, Warns of Legal Action

 

Seoul — Kim Moon-soo (김문수), the presidential nominee of the People Power Party (국민의힘), issued a sharp rebuke against party leadership on May 8, accusing them of attempting to oust him in favor of independent candidate Han Duck-soo (한덕수). Labeling the move a "forced candidate replacement," Kim declared he would consider legal action if the maneuver persists.

 

Since winning the party’s national convention on May 3, Kim claimed he has been under pressure from internal forces seeking to remove him from the race. “I confirmed last night that this isn’t just speculation,” he said. “It’s a deliberate attempt to discard a democratically elected candidate.”

 

Kim expressed outrage that the party was allegedly assembling a campaign team for Han, who hasn’t officially registered for the general election. “Why is the party supporting an independent candidate who refuses to register, instead of backing me?” Kim questioned.

 

He challenged Han directly, asking if the former prime minister had been aware of this scenario in advance. “Did you resign from the acting post and enter as an independent because this plan was already in motion?” he asked.

 

Kim proposed a transparent path forward: a week of open campaigning, followed by a televised debate next Wednesday and a public opinion poll on Thursday and Friday to determine the stronger candidate. He warned that continuing as is would lead to “mutual destruction.”

 

Declaring his refusal to participate in any debates unilaterally arranged by the party, Kim invoked Article 74 of the party’s bylaws to exercise what he called his “right to prioritize party duties,” thereby halting what he sees as coercive unification efforts.

 

He concluded by vowing to continue seeking a sincere agreement with Han “to save the country,” while reiterating his resolve to win as a legitimate and combative candidate. “I will explore every possible avenue to stop this,” he said.

 

Kim proposed holding a televised debate next Wednesday, followed by public opinion polls on Thursday and Friday. However, the People Power Party plans to push ahead with a YouTube TV debate today and conduct polling later this week.

 


 

2025년 5월7일. 홍준표, 국민의힘 향해 직격탄…“떠날 때 말없이? 그건 노래 가사일 뿐”

 

서울 — 국민의힘을 떠나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당 지도부와 용산의 경선 개입 의혹을 강하게 비판하며, 자신의 탈당 배경과 그간의 경선 과정을 낱낱이 공개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떠날 때 말없이 가는 것은 가수 현미의 노래일 뿐”이라며 침묵 없이 떠나지 않기로 했던 것. 

 

홍 전 시장에 따르면, 그는 당초 국회의원 48명과 원외 당협위원장 70여 명의 지지를 확보했고, 국민 여론조사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었기에 2차 경선에서 과반 득표를 기대했다. 그러나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한 전략이 등장하면서 판세가 흔들리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용산과 당 지도부가 공동으로 경선을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재신임 투표처럼 몰아가려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부각시키고, 자신을 견제하기 위한 조직적 움직임이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김문수를 “만만한 카드”로 판단한 세력이 그를 밀어주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홍 시장을 지지하던 인사들도 김문수 지지로 급속히 전환했다고 회고했다.

 

2차 경선을 불과 나흘 앞두고 이러한 상황을 인지한 그는, “더러운 판”이라 표현하며 그 순간부터 경선에 대한 미련을 접었다고 했다.

 

홍 전 시장은 김문수 후보를 향한 작금의 비판이 부당하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음험한 공작을 역이용한 것뿐인데 왜 김문수를 탓하느냐”며 오히려 “윤석열 아바타”를 자처한 한덕수를 비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당과 보수 진영 전체가 특정 이익 중심 세력에 의해 망가지고 있으며, 이는 영국 보수당(토리당)이 몰락한 전례와 비슷하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서도 “나라와 당, 보수진영을 모두 망치고 있다”며, “그 댓가를 혹독하게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마지막으로 홍 시장은 “3년 전 당원들이 나를 선택했다면 이런 상황은 없었을 것”이라며, 자신이 당시에 당선되었더라면 보수진영과 국정이 지금처럼 파탄에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라 주장했다. 그는 “지더라도 명분 있게 져야 다시 일어설 수 있다”며, 당의 정체성 회복을 호소했다.

 


 

다음은 홍 시장의 페이스북 글 전문.

 

떠날 때는 말없이 라는건 가수 현미의 노래일 뿐이다. 아무래도 내가 겪은 경선 과정은 밝히고 떠나야 할것 같다. 처음 경선에 돌입해서 국회의원 48명,원외 당협위원장 70여명 지지를 확보 했을때 국민여론에도 앞섰기 때문에 2차에서 무난히 과반수를 할줄 알았다.

 

그러나 용산과 당지도부가 합작하여 느닷없이 한덕수를 띄우며 탄핵대선을 윤석열 재신임 투표로 몰고 가려고 했을때 나는 설마 대선 패배가 불보듯 뻔한 그런 짓을 자행 하겠느냐는 의구심이 들었다. 그러나 그게 현실화 되면서 김문수는 김덕수라고 자칭 하고 다녔고 용산과 당지도부도 김문수는 만만하니 김문수를 밀어 한덕수의 장애가 되는 홍준표는 떨어 트리자는 공작을 꾸미고 있었다.

 

나를 지지하던 사람들은 순식간에 김문수 지지로 돌아섰고 한순간 김문수가 당원 지지 1위로 올라섰다. 그건 2차 경선 나흘전에 알았다. 김문수로서는 이들의 음험한 공작을 역이용 했고 그때부터 나는 이 더러운 판에 더이상 있기 싫어 졌다.

 

그런데 왜 김문수를 비난하는가? 무상열차 노리고 윤석열 아바타를 자처한 한덕수는 왜 비난하지 않는가? 김문수는 니들의 음험한 공작을 역이용하면 안되나? 니들이 한짓은 정당하냐? 나라를 망쳐놓고 이제 당도 망치고 한국 보수진영도 망치려 하느냐?

 

지더라도 명분있게 져야 한다. 그래야 다시 일어설 명분이 생긴다. 니들은 이념집단이 아닌 이익집단에 불과하고 영국 토리당이 그래서 소멸된거다. 윤석열은 나라 망치고 당도 망치고 한국 보수세력도 망치고 있다. 그 댓가를 혹독하게 치룰거다.

 

용병하나 잘못 들여 나라가 멍들고 당도 멍들고 한국 보수세력도 멍들고 있다. 3년전 당원들이 민심에 압승한 나를 선택했으면 나라와 당이 이꼴이 되었겠느냐? 오호 통재라 라는 말은 이때 하는 말이다.

 

 


 

2025년 5월3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확정…선거인단·여론조사 모두 앞서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김문수 후보가 최종 승리하며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김 후보는 선거인단 투표와 여론조사 결과를 합산한 최종 득표율에서 56.53%를 기록해, 43.47%를 얻은 한동훈 후보를 큰 격차로 제쳤다.

 

이번 경선은 선거인단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각각 반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김 후보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총 24만6,519표를 획득했으며, 여론조사에서도 51.81%의 지지를 받아 약 20만8,525표를 얻었다. 이에 따라 김 후보의 최종 합산 득표수는 42만5,044표로 집계됐다.

 

한동훈 후보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15만5,961표를, 여론조사에서는 48.19%를 받아 약 19만3,955표를 기록했다. 이를 합산한 최종 득표수는 34만9,916표에 그쳤다.

 

두 후보 모두 여론조사에서 고르게 지지를 받았으나, 김문수 후보가 여론조사 투표에서 두드러진 우세를 보이면서 당내 경선의 승기를 잡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경선 결과는 국민의힘 내부 세력 구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당의 보수색을 강조하며 전통적 지지층 결집을 이끈 김 후보의 본선 전략과, 젊은 이미지와 개혁 성향을 내세운 한 후보의 대조적인 접근이 경선 과정 내내 부각됐다. 당내에서는 김 후보의 본선 경쟁력에 대한 기대와 함께, 한 후보의 향후 행보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한편, 국민의힘은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본격적인 본선 체제에 돌입할 예정이다.

 

김문수 후보는 수락 연설에서 “우리 모두 혹독한 겨울을 보냈다. 좌절과 분노를 뚫고 이 자리에 모였다. 우리 대통령은 탄핵됐다. 우리 민주주의가 위기에 있다. 이번 대선에서 승리하겠다는 각오로 우리는 모였다. 대선 승리, 저는 준비되어 있다. 여러분은 어떤가. 자신 있나? 반드시 승리했다"라고 말했다.

 

한동훈 후보는 수락연설에서 "저는 오늘 당원들과 국민들의 결정에 승복한다. 저의 여정은 오늘 여기서 끝나지만 우리의 김문수 후보가 대한민국이 위험한 나라가 되는 것을 막아주실 것을 부탁드린다. 저도 뒤에서 응원하겠다. 저는 맑은 날도 비오는 날도 눈오는 날도 국민과 당원과 함께 하겠다"라고 말했다.

 

 

본 기사는 유료기사로 기사의 일부만 제공됩니다.
- 결제 즉시 유료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콘텐츠 특성상 환불되지 않습니다. (단, 미사용시 환불 요청 가능)
- 결제한 내역은 마이페이지 결제내역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환불 및 변경 문의와 관련해서는 메인페이지 하단 [이용약관 및 고객지원]을 통해
더 자세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정기회원권은 회원가입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정기회원권은 마이페이지 또는 사이트 우측 상단 이용권결제를 이용해주세요.
박성훈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가장 많이 본 뉴스

뉴스 인물 교육 시리즈 짘놀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